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

2023 육아 지원금 – 부모급여 및 다양한 지원 정책

by whyt 2023. 1. 30.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심각합니다. 출산율이 세계 최하위입니다. 이런 기형적인 인구 구조로는 앞으로 걷잡을 수 없는 문제들이 생겨날 것입니다. 이렇기에 정부에서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어떠한 정책들이 있을까요? 임신부터 육아하면서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모급여

기존 영아수당에서 부모급여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년 대비해서 지원금액도 상승했습니다.

 

  • 기준 및 금액 : 만 0세 월 70만원, 만 1세 월 35만원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or 복지로 홈페이지 (http://www.bokjiro.go.kr)

2024년에는 만 0살 월 100만원, 1 50만원으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아동수당

아동수당은 아동의 육아에 지원하는 수당입니다.

  • 기준 및 금액 : 만 8세 미만 (0~95개월) 월 10만원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or 복지로 홈페이지 (http://www.bokjiro.go.kr)

 

첫만남이용권

2022년생부터 신고된 아이만 지원받을 수 있는 첫만남이용권이 있습니다. 카드 포인트로 지급되며, 출생일 기준 1년 동안 사용이 가능합니다.

 

  • 기준 및 금액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1회 200만원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or 복지로 홈페이지 (http://www.bokjiro.go.kr)

첫만남이용권 신청 후 카드사에 별도 바우처 신청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임신 출산 진료비

병원 및 약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임신바우처가 있습니다.

기준 및 금액 : 임신 1 100만원, 다태아 임산 140만원, 분만 취약자 20만원 추가

신청 방법 :  출산 확인서 발급 후 국민건강보험공단 방문 신청 or 카드사 온라인 신청 (국민행복 카드)

 

한부모가정

기존 한부모가정에 지급하는 아동양육비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 기준 : 중위 소득 60% 이하 월 20만원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or 복지로 홈페이지 (http://www.bokjiro.go.kr)

 

임산 교통비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교통비 지원입니다.

 

출산축하금

지자체별로 운영하고 있어 별도 확인 필요합니다.

 

이렇게 육아 관련 지원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육아로 힘드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정책이 있으면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