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

애플의 재무 상황 및 매출 비중 - 아이폰 매출

by whyt 2023. 1. 10.

세계 1위 기업인 애플은 얼마나 돈을 잘 벌까요? 통장이 있다면 어마어마한 숫자가 매년 찍힐 것입니다. 시가총액이 2023년 1월 기준 약 2600조 원으로 대한민국 전체 주식 시장을 합친 것과 버금갑니다. 애플의 재무상황과 이를 뒷바침해주는 매출 비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애플은 2022년 4분기 실적 발표를 2022.09.24를 기점으로 마무리하여 집계했습니다.

재무 상황

애플은 2022년 한 해 동안 $394억(약 493조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더 대단한 것은 영업이익입니다. 영업이익은 $120억(약 150조원)입니다. 영업이익률이 자그마치 30%에 육박합니다. 자산의 상황을 보면 유동성 자산으로 $169억(약 210조원), 부채는 $120억(약 150조원)입니다. 당장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이 200조원 넘어 있는 것입니다. 또 눈여겨볼 만한 항목은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입니다. 잉여현금흐름은 자본적 지출을 차감한 후 기업이 창출해내는 현금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현금입니다. 2022년에 $111억(약 140조원)의 잉여현금흐름을 발생시켰습니다. 사업이 이대로만 유지한다면 매년 100조원이 넘는 돈이 쌓이는 것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압도적인 1위 기업인 삼성전자 시가총액이 360조원입니다. 세계 시가 총액 순위 25위입니다. 규제나 이해관계를 배제하면, 애플이 4년 동안 버는 돈으로 삼성전자를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직장인이 4년 동안 돈 모아도 아파트 1채도 사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면 엄청난 사업 능력을 비추어 볼 수 있습니다.

 

  • 시가총액 $2.07조 (약 2600조원)  
  • 매출 $394억 (약 493조원)
  • 영업이익 $120억 (약 150조원)
  • 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 $111억 (약 140조원)
  • 유동성 자산 $169억 (약 210조원)
  • 부채 $120억 (약 150조원)

 

매출비중

2022년 애플의 매출액은 $394억(약 493조원)이었습니다. 어떤 제품들이 이런 매출을 구성하고 있을까요? 당연히 1순위는 아이폰입니다. 현대인들의 생필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에서 압도적인 위상을 가진 아이폰이 매출의 5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그래서 애플 관련 뉴스를 보시면 아이폰에 대한 내용이 절대적입니다. 아이폰의 생산량을 늘리거나 줄인다는 뉴스가 나오면 애플의 주가가 요동치는 경우가 있을 정도입니다.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제품군은 애플 서비스업이다. 애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는 IOS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앱스토어, 애플TV 등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하드웨어가 아닌 서비스이기에 수익률이 제일 높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자본이 필요하지만, 완료 후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애플은 서비스 부문에 대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위는 웨어러블 및 액세서리입니다. 아이폰 사용자들이 많이 차는 애플워치가 대표적입니다. 나머지는 맥과 패드입니다. 

2022년 애플 매출 비중


이렇게 애플의 재무 상황과 사업 비중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세계 1위 기업인 만큼 엄청난 재무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애플은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에서 신용등급 ‘AAA’ 등급을 선정한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이는 미국 국채와 동급인 수준입니다. 한국은 AA2로 2단계 아래입니다. 애플은 지속해서 아이폰으로 많은 매출을 일으킬 예정입니다. 하지만 기술의 트렌드가 급변하는 사회에서 신기술에 대한 투자도 끊임없이 하고 있습니다. 향후 10년 지나도 애플이 굳건히 세계 1위 자리하고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