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

마이크로소프트의 재무 상황과 사업 구조

by whyt 2023. 1. 19.

시가총액 2위의 기업은 어디일까요?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입니다. 창업주는 빌 게이츠로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한때 최고 부자는 빌 게이츠로 대변되었었죠. 마이크로소프트는 애플의 아이폰과 같은 하드웨어를 쉽게 볼 수 없지만, 컴퓨터를 사용하신다면 매일 Windows를 사용하고 계실 것입니다. 아이폰이 아닌 삼성폰이나 다른 핸드폰을 쓰신다면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시겠죠. 이 모두 마이크로소프트의 제품입니다. 시가총액은 2023년 1월 기준 약 2100조 원을 넘습니다. 대중적으로 우리 눈앞에 보이지 않기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얼마나 많은 돈을 벌고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는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도 알아봐야겠죠. 2022년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지 또한 재무적으로 상황이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재무 상황

마이크로소프트는 2022년 $198억(약 244조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이 커도 중요한 요인은 영업이익률이겠죠? 영업이익은 $83억(약 103조원)입니다. 영업이익률이 자그마치 약 42%입니다. 소프트웨어를 강점으로 가진 회사라 영업이익률이 어마어마합니다.
재산의 상황을 보겠습니다. 유동성 자산을 보면 $153억(약 189조원), 부채는 $77억(약 95조원)입니다. 말도 안 되는 영업이익률로 현금성 자산이 200조에 육박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년에 보통 들이는 현금이 얼마나 될까요? 우리는 보통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으로 이것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지불해야 하는 돈 다 내고 남는 잉여의 현금입니다. 202년 $65억(약 80조원)의 잉여현금흐름을 발생시켰습니다. 1년 매출액의 1/3을 잉여현금으로 계속 쌓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의 1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경우, 잉여현금흐름이 제일 많았을 시기가 약 40조 원이었습니다. 2022년에는 투자 비용으로 오히려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단순히 비교해도 마이크르소프트의 막대한 현금 창출 능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 시가총액 $1760억
  • 매출 $198억
  • 영업이익 $83억
  • 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 $65억
  • 유동성 자산 $153억
  • 부채 $77억


매출구조

애플의 경우 아이폰 및 많은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비즈니스 모델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어떤 아이템으로 매출을 일으킬까요? 1위는 매출액 $45억으로 약 23%를 차지한 Office 제품입니다. 직장인 및 학생이시라면 Excel, Word, PowerPoint 등 많이 쓰신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이 모두 Office 제품으로 정품으로 사용하시려면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2위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가장 중요한 제품인 Azure Cloud입니다. 클라우드 산업은 4차 산업 혁명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입니다. 많은 기업이 데이터를 저장할 곳이 없어 대용량 저장소인 클라우드에 비용을 지불하여 저장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는 아마존의 AWS 다음으로 2번째로 규모가 큽니다. 매출액은 약 $44억으로 매출의 22%를 차지합니다. 이는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전망입니다. 그다음으로는 우리가 친숙한 Windows입니다. 매출액은 약 $25억으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매출 구조


마이크로소프트의 재무 상황과 사업 비중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애플과 마찬가지로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에서 신용등급 ‘AAA’ 등급을 부여받았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강점은 지속적인 수요와 높은 마진(영업이익율)으로 보입니다. 컴퓨터 및 정보화 시대가 계속되는 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할 것 같습니다. 향후에도 세계 시가총액 최상위에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