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의 세상이 다가오고 있다고 합니다. 자율주행의 레벨 및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현재 기술력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율주행 레벨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자율주행 레벨을 정의했습니다. 이 기준은 미국 교통부에서 채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기준으로 각 기업의 자율주행 수준을 나타냅니다. 기준은 레벨 0(완전 수동)에서 레벨 5(완전 자율)로 이루어졌습니다.
- 레벨 0 (완전 수동) : 오늘날 도로에서 보편적으로 보이는 차량으로 수동 제어입니다.
- 레벨 1 (운전자 지원) : 가장 낮은 수준의 자동화입니다. 일정 속도 유지 (크루즈 컨트롤) 또는 앞차 안전거리 유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또는 어댑터들 크루즈 컨트롤)의 지원 등이 해당합니다.
- 레벨2 (부분 자동화) :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인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입니다. 차량이 가속 및 감속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방향 전환도 제어됩니다. 다만,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제어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현재 TESLA의 Auto Pilot이 레벨2 수준입니다.
- 레벨 3 (조건부 자율주행) : 레벨3부터는 운전자가 아닌 시스템이 스스로 결정을 내립니다. 환경 감지 기능이 있으며 맞춰 시스템이 운전합니다. 다만 시스템이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운전자가 개입하여 제어해야 합니다. 운전자가 꼭 필요합니다. 현재 도요타, 벤츠 등 승인받은 업체도 있지만 아직 대량의 차량이 상용화되지는 않았습니다. 현시점에서 많은 기업이 레벨 3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는 단계로 보시면 됩니다.
- 레벨 4 (고등 자율주행) : 시스템이 대부분의 상황에서 알아서 판단 및 제어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악천후 같은 특이 변수 있을 경우 운전자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레벨 5 (완전 자율주행) : 완전한 자율주행입니다. 운전자가 필요 없으며. 탑승자만 있으면 운전이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우리가 꿈꾸는 미래의 모습입니다
이렇게 자율주행의 레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술력뿐 아니라 많은 보안 및 안전 규제가 있어 완전 상용화에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율주행이 상용화된다면 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자가용을 갖고 계신 분들은 이동 중 휴식을 취하거나 다른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차량에서 즐길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이먼트 등 많은 부가 산업들이 활성화될 것입니다. 반면에, 버스 및 택시 등 대중교통 사업에서 인력이 기술로 대체될 수 있는 부작용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이 기술로 대체되는 부정적인 부분만 보는 것이 아닌 좋은 방향도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차 산업혁명 때 증기기관을 부수던 러다이트 운동은 시대 상황에서 이해가 갑니다. 다만, 이후 과학 기술 발전으로 인해 현재는 더 많은 기회가 생겼고 인류는 역사상 가장 풍요합니다. 앞으로도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을 기대합니다.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의 재무 상황 및 매출 비중 - 아이폰 매출 (0) | 2023.01.10 |
---|---|
2022 테슬라 생산량 및 인도량 (1) | 2023.01.03 |
2022 전기 자동차 브랜드 점유율 (Market Share) (0) | 2023.01.02 |
전기차 비용 (보조금/전기충전료/보험비) – 전기차 유지비 (0) | 2022.11.21 |
전기차 배터리 2차 전지가 뭘까요? (0) | 2022.11.05 |
댓글